부가세신고8 [홈택스] 상가임대 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하.. 홈택스 화면이 또 바뀌었네요.오늘은 상가임대 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을 간단하게 올려드릴게요. 상가임대 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홈택스에 사업장으로 로그인하셔서 부가가치세 신고메뉴를 클릭해 주세요.맞춤신고 찾기 뭐.. 이런 거 있다는데 그건 모르겠고지금은 정기확정신고 기간이니 정기확정 신고를 클릭합니다. 기본정보> 신고대상에서 해당사업장의 과세유형에 맞춰서 일반과세자 또는 간이과세자를 선택해 줍니다.사업자 등록번호 옆에 확인버튼 클릭 확인버튼 클릭 후 사업장 내용이 모두 불러와졌으면 저장하기 버튼 클릭 미리채움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예, 직접 입력하려면 아니오 버튼을 눌러주세요.저는 미리채움 서비스를 이용해서 작성했습니다.미리채움을 선택하고 틀린 부분이 있으면 수정하시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 2025. 1. 16. 의제매입세액공제 / 음식점 부가세 절세 방법 의제매입세액공제란? 의제매입세액공제란? 면세사업자로부터 매입하는 품목에 대해 일정비율을 매입세액으로 인정해 주고, 이를 통해 부가세를 환급해 주는 거예요. 만약 이런 제도가 없다면 농·축 ·임 ·수산물 거래를 많이 하시는 음식점 사장님들의 부가세 부담은 장난 아니겠죠? 의제매입세액공제 조건 의제매입세액공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어요.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의제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만약 의제매입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을 목적과 다르게 사용한 것이 밝혀지면 공제받은 금액을 다시 추징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여야 해요. 의제매입세액공제 계산방법 및 공제율 의제매입세액공제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공제율은 업종별, 사업자 규모별로 조금씩 달라요. 의제매입세액공제 한도 의제매입세액은 계산했을 때.. 2023. 11. 22. [홈택스]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홈택스에서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하기 간이과세자 홈택스 셀프 신고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신고가 그리 어렵지 않지만 화면 하나하나를 캡처를 하다 보니 스크롤의 압박이 느껴지실 수 있어요. 그래도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니까 천천히 한 단계씩 따라 해 보아요~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하기 홈택스에 로그인해 주세요. 로그인하실 때 개인으로 로그인되셨다면 사업장으로 전환해 주세요. (공인인증, 간편 인증 등 인증을 통한 로그인을 하셔야 모든 자료를 불러올 수 있어요.) 신고/납부> 세금신고> 부가가치세 메뉴로 이동합니다. 간이과세자> 정기신고 메뉴로 이동합니다. 기본정보 입력하기 사업자등록번호 옆 확인 버튼을 눌러 사업자 세부사항에 내용들이 자동으로 채워지면 확인 후 저장 후 다음이동 버튼을 눌러 다음 화면으로.. 2023. 1. 13. [홈택스]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방법 부가가치세 무실적으로 신고하는 방법 부가가치세 신고는 실적이 없어도 기간이 되면 신고를 꼭 해줘야 합니다. 무실적인 경우에는 홈택스에서 버튼 하나만 눌러주면 부가가치세 신고를 완료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무실적인 경우 홈택스에서 부가가치세 신고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방법 1. 먼저 홈택스에 로그인을 합니다. 공인인증서나 간편 인증을 받아 로그인해 주세요. 신고/납부> 세금신고> 부가가치세 메뉴를 클릭합니다. 2. 일반과세자의 경우 일반과세자 메뉴에서 신고유형을 선택하고, 간이과세자인 경우 간이과세자에서 신고유형을 선택합니다.(간이과세자 정기신고 무실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게요.) 3. 사업자등록번호 옆에 확인버튼을 눌러 사업자 세부사항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2023. 1. 5. 22년 2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마감일 연장!! 22년 2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마감일 22년도 2기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 및 납부기한이 1월 25일(수)에서 1월 27일(금)까지로 2일 연장되었습니다. 정확한 공고는 국세청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Info.do?mi=2206&bbsId=1122&nttSn=1319746) 이번에 부가가치세 신고가 연장된 이유는 설 연휴가 1월 24일(화)까지라 이를 감안해서 최종 신고, 납부 기한을 연장해 준 건데요. 연장을 많이 시켜준 게 아닌 만큼 꼭 늦지 않게 신고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자 22년 2기 부가가치세 신고는 일반사업자, 간이사업자, 법인사업자 모두 해당됩니다. 부가가치세신고 및 납부를 꼭 23년 1월 27.. 2022. 12. 26. 1년 동안 부가세 신고는 몇 번 해야 할까? 내 사업장은 1년 동안 부가세 신고는 몇 번 해야 할까? 나는 사업을 하면서 1년 동안 과연 몇 번의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하는 걸까?? 분기마다?? 반기마다?? 아니면 1년에 한 번??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사업자(일반과세자)는 1년에 2회(7월 25일까지 신고/납부, 다음 해 1월 25일까지 신고/납부) 신고하고 납부하면 됩니다. (저는 개인사업자 일반과세자 위주로 내용을 작성합니다.*^^*) 사업자 구분(일반 과세자, 간이 과세자) 부가가치세는 일반 과세자의 경우 6개월을(1-6, 7-12) 과세기간으로 하고 신고/납부합니다. 과세기간을 다시 3개월로 나누어서 중간에 예정신고기간을 두고 있지만 모두 예정신고를 하지는 않습니다. 예정신고를 하는 조건은 따로 있습니다. 사업실적이 악화되거나 조기환급을 받.. 2022. 12. 2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