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계산서5

주민번호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 매입세액 공제받을 수 있을까?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사업자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주고받아요. 이렇게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로 매입세액공제를 받게 되죠. 사업자 등록증을 신청하기 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으려면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게 되는데요. 이런 경우 주민등록번호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를 매입세액 공제받기 위한 조건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사업자등록 전 주민번호로 수취한 세금계산서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기 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주민등록번호를 알려주고 세금계산서를 받아야 해요. 사업자등록 이전 거래에 대해서는 주민등록번호로 받은 세금계산서는 매입세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어요. 원래는 사업자등록 전 매입세액에 대해 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업자등록신청일부터 역산해서 20일 이내에 사업과 관련하.. 2023. 12. 8.
세금계산서 지연 발급 시 주의 사항 - 지연 발급 한 경우 세무사 사무실에 꼭 알려주세요. 제가 담당하고 있는 거래처 사장님이 부가세 신고를 다 마쳤는데 전자세금계산서를 뒤늦게 발행하셨지 뭐예요. 사장님이 지연발급하기 전 부가세 신고는 이미 마친 상태였고, 그 이후에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해 놓고 말씀 안 해주셨으니 발행했는지도 모르게 1년이 지난 지금!!!!! 세무서에서 연락이 왔어요. 22년도 1기 부가세 신고가 이상하다고 말이죠.. ㅠㅠ 22년도 1기 부가세 신고를 수정신고 하래요. 당연히 부가세 수정신고 할 수 있죠. 수정신고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아시나요?? 추가 납부금액에 대해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붙고 전자세금계산서 지연발급 가산세가 붙고.. 금액이 크면 클 수록 가산세 폭탄ㅠㅠ 부가세만 수정 끝날까요?? 종합소득세도 수정해야 해요. 이것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발생하고 .. 2023. 9. 11.
세금계산서 영수?? 청구?? 세금계산서 영수/청구 구분방법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때 이 금액을 청구함/ 이 금액을 영수함 대체 어떤 걸 선택해야 하는지.. 저만 헷갈리나요??ㅠㅠ 예전에 "청구함"으로 발행했더니 "영수함"으로 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다시 발행해 달라고 해서 이게 이렇게 중요한 건가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 금액을 청구함'을 선택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일 이후에 돈을 받는 경우는 '청구'에 표기하세요. '이 금액을 영수함'을 선택하는 경우 세금계산서 작성 전에 대금을 이미 받는 경우 '영수'에 표기합니다. 영수, 청구 잘 못 표기 시 수정여부 영수와 청구는 필요적 기재사항이 아니라서 잘 못 선택해도 수정 발행할 필요가 없어요. 다만 거래처에서 수정해 달라고 하면... 힘없는 저는 수정발행 할 수밖에 없겠죠..ㅠㅠ.. 2023. 1. 12.
[홈택스] 세금계산서 발급내역 확인방법 홈택스 세금계산서 발급내역 확인방법 1. 먼저 홈택스에 로그인을 합니다. 공인인증서나 간편 인증을 받아 로그인을 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인증을 받지 않고 아이디로 로그인하는 경우에는 홈택스를 이용할 때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조회발급>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및 통계조회> 전자(세금) 계산서 합계표조회 메뉴를 클릭합니다. 3. 분류 항목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또는 전자계산서를 선택합니다. 구분에서 매출 또는 매입을 선택하고 작성일자에서 일자별, 월별, 분기별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합니다.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총합계에 해당 기간의 구분별 전자(세금) 계산서의 총합계가 나타납니다. 좀 더 상세한 내역을 확인하고 싶다면 명세서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명세서 조회 버튼을 .. 2023. 1. 11.
부가가치세 신고 시 인정 안되는 영수증 법적지출 증빙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부가가치세 신고 시 매입세액 공제를 잘 받기 위해서는 이 법적지출 증빙을 잘 챙기셔야 하는데요. 나는 잘 받았다고 생각하지만 법정 증빙이 아니라서 인정을 못 받는 상황 설명 드릴게요. 지출 증빙이란? 사업자가 사업과 관련하여 다른 사업자로부터 물건 또는 용역을 제공받고 대가를 지출할 때 받는 영수증을 말합니다. 지출증빙 서류 계산서,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영수증, 현금영수증이 있습니다. 그럼 간이 영수증은 과연 지출증빙 서류일까요?? 답은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가 답입니다. 간이영수증은 3만 원 이하의 건에 대해서만 비용으로 인정합니다. (부가세 공제는 안됩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영수증을 받아오는 경우는 법적지출 증빙으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간이영수증은 부.. 2023. 1.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