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액공제5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연말정산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어요. 아.. 이번엔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후덜덜합니다. 전 인적공제 추가로 받을 사람도 없어요..ㅠㅠ 또 소득공제 항목이랑 세액공제 항목을 열심히 뒤져보는 수밖에 없겠네요. 여러분들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솔직히 전 이쪽 업무를 하기 전까지는 그냥 그런 게 있나 보다 했지 뭐가 더 좋을지 관심도 없었어요.;ㅁ; 그래서 오늘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에 대해서 남겨볼까 해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소득공제는 세금을 계산 전 나의 전체 소득금액에서 일부 금액을 빼주는 게 소득공제예요. 대표적으로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신용카드공제 등이 있어요. 세액공제는 세금을 계산 후 그 세금에서 일정 금액 또는 비율만큼 빼주는 게 세액공제예요. 대표적인 예로.. 2023. 12. 1. [연말정산] 세액감면과 세액공제의 차이 지난 포스팅에서 원천징수 영수는 보는 방법을 설명드렸어요. 2023.02.17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2023.02.18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2 -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에서 크게 크게 설명을 드렸다면 앞으로 업로드하는 포스팅에서는 세부 항목별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액감면과 세액공제의 차이와 표준세액공제를 받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의 차이를 설명드릴까 해요. 세액감면이란? 세액의 일정 부분을 감소해 주는 것을 의미해요.(산출세액을 기준으로 일정한 비율만큼 빼주는 방법) 대표적인 세액감면은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이 있습니다. 소득세법에.. 2023. 2. 23. 연말정산 결과 보는방법2 -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법 지난 포스팅에 원천징수 영수증에서 산출세액까지 어떻게 나오는지 설명드렸어요. 2023.02.17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이번엔 그 나머지 부분을 설명할게요. 내가 1년 동안 받은 총급여에서 이것저것 소득공제를 받았더니 49.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구해지고 나의 과제표준 금액에 때라 세율을 곱해줬더니 50. 산출세액이 나왔어요. 그럼 이 산출세액의 금액을 다 납부하는 게 아니라 여기서 또 세액감면과 세액공제를 빼줘야 72. 결정세액이 나오는 거예요. 세액감면은 소득세법에 따른 세액감면, 조세조약에 따른 세액감면,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세액감면 등이 있어요. 그중에서 제가 겪어본 건 53. 조세특례제한번 제30조에 속하는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 2023. 2. 18. [기타정보] 2023년도 달라진 세금 제도 2023년도부터 달라지는 세금제도 2023년도부터 세금제도가 바뀌는 것들이 있는데요. 미리미리 알아두고 나한테 유리한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대비해 보자고요~!! 소득세 과세표준 조정 2023년도가 되면서 소득세율 6% 적용 구간이 1,200만 원에서 1,400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15% 적용구간은 1,400만 원 초과 5,000만 원 이하로 24% 적용구간은 5,000만 원 초과 8,800만 원 이하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외의 나머지 적용구간은 변동사항 없습니다. 신용카드 사용금액 소득공제 22년 신용카드 등 사용액이 21년 대비 5% 이상 증가 했을 경우 증가분의 20%를 100만 원 한도로 추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공제율이 한시적으로 상향되었고, 영화관람료의 경우 23년 7월 .. 2023. 1. 2. 고향사랑 기부금 세액공제란? 고향사랑 기부금이란? 요즘 길거리 다니다 보면 지나가는 버스 광고문구에 "고향사랑 기부금"이라는 단어가 종종 보이더라고요. "고향사랑 기부금?? 그게 뭐지???"라는 생각을 했지만 찾아볼 생각은 전혀 없었거든요. 그런데 오늘 내 고향 살리는 '고향사랑 기부제'에 동참하라는 신문기사를 접하면서 궁금하기도 하고 해서 뭔지 찾아봤어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살펴본 '고향사랑 기부제'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함께해요~^^ 고향사랑 기부제란? 개인이(법인은 안 돼요) 고향에 기부를 하면 세액공제와 더불어 답례품(지역 특산품)을 받는 제도입니다. 현재 거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자체에 기부가 가능합니다.(왜 거주지역은 안 되는 걸까요???) 답례품은 기부액의 30% 이내의 지역특산품, 상품권, 조례로 정한 .. 2022. 12. 2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