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87

연말정산 경정청구 및 수정신고 (경정청구 기간) 이제 연말정산 기간이 끝나가고 있어요. (회사에서 연말정산 자료를 제출하는 기한은 3월 10일까지입니다.) 연말정산 결과를 받아 보고 나니 다 돌려받지 못하신 분이나 추가로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 분들은 뭔가 잘못된 거 같고 이제 와서 자료를 찾아보자니 시간도 별로 없는 것 같은 느낌이 드시나요? 아니면 이번엔 제대로 된 것 같은데 이전엔 잘 안된 것 같은 느낌이 드시는 분들 있으신가요?? 연말정산에 부양가족, 월세, 기부금, 의료비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연말정산을 끝낸 경우 이러한 항목들을 넣고 다시 연말정산을 할 수 있는 경정청구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해요. 경정청구란? 납세자가 세금을 더 냈거나 잘못 낸 경우 더 낸 금액을 세무서에 돌려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지금 설명하려고 하는 연말.. 2023. 3. 2.
종합소득세 신고시 필요한 서류 세금신고의 꽃이라고 볼 수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슬슬 다가오고 있어요. 신고는 5월부터이지만 이제 사장님들께 이런 자료를 준비해 달라고 요청을 하고 그 자료가 제대로 있는지 확인을 하려면 적어도 한 달 전부터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하거든요. 올해는 좀 일찍 준비해 보려고 마음을 먹었어요. ㅎㅎ 그래서 이렇게 글을 작성하면서 어떤 자료가 있는지 곱씹어 보고 있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때 필요한 서류에 대해서 작성해 볼까 해요.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 동안 얻은 모든 과세대상(기타 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사업소득, 배당소득) 소득에 대하여 납부하는 세금으로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내가 거주하는 주소지의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고 납부하는 세금을 말합니.. 2023. 3. 1.
연말정산 추가 납부세액 분납방법 연말정산 결과 다들 받으셨나요? 추가 납부세액이 있으신 분들은 주목!! 하세요~ 연말정산 추가납부세액 기준 연말정산 추가 납부세액은 납부할 금액이 1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분납을 신청할 수 있어요. 연말정산 추가납부세액이 10만 원 이하라면 2월 급여를 받을 때 급여에서 차감하고 받을 거예요. 저 같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추가 납부세액이 100만 원이 넘는 경우에는(소득세 964,280원 지방소득세 96,440원) 한 번에 납부하는데 부담스러울 테니 분납을 하는 게 아무래도 타격이 좀 줄지 않을까 생각해요.(제가 아는 분은 250만 원을 납부하신다고 하더라고요.ㅠㅠ) 연말정산 추가납부세액 분납 기간 연말정산 추가납부세액은 원래대로라면 2월 급여에서 모두 떼어가는 세금을 3월, 4월까지 기간을 늘려 3.. 2023. 2. 27.
[연말정산] 자녀세액 공제 자녀세액공제 적용 요건 자녀세액공제는 자녀가 있는 근로자에게 주는 혜택으로 자녀세액공제와 출산·입양자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자녀세액공제는 기본공제 대상자(연간소득금액이 100만 원을 넘지 않으면 20세 이하)인 자녀 중 7세 이상(7세 미만의 취학아동 미포함)인 자녀 수만큼 세액공제를 해주는 것을 말해요. 맞벌이 부부의 경우 근로자 본인이 자녀 기본공제를 받고 배우자가 자녀세액 공제를 받는 건 불가능합니다. 기본공제를 받는 사람이 자녀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어요. 출산·입양 세액공제는 귀속기간에 출생신고를 하거나 입양신고한 공제대상 자녀가 있을 때 그 해에 한 번 공제되는 세액 공제입니다. 공제금액 자녀세액공제는 자녀가 1명인 경우 연 15만 원의 공제를 받고, 2명인 경우 연 30만 원, 3명인 경우에.. 2023. 2. 24.
[연말정산] 세액감면과 세액공제의 차이 지난 포스팅에서 원천징수 영수는 보는 방법을 설명드렸어요. 2023.02.17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2023.02.18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2 -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에서 크게 크게 설명을 드렸다면 앞으로 업로드하는 포스팅에서는 세부 항목별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액감면과 세액공제의 차이와 표준세액공제를 받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의 차이를 설명드릴까 해요. 세액감면이란? 세액의 일정 부분을 감소해 주는 것을 의미해요.(산출세액을 기준으로 일정한 비율만큼 빼주는 방법) 대표적인 세액감면은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이 있습니다. 소득세법에.. 2023. 2. 23.
연말정산 결과 보는방법2 -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법 지난 포스팅에 원천징수 영수증에서 산출세액까지 어떻게 나오는지 설명드렸어요. 2023.02.17 -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 - 연말정산 결과 보는 방법 (원천징수 영수증 보는 법) 이번엔 그 나머지 부분을 설명할게요. 내가 1년 동안 받은 총급여에서 이것저것 소득공제를 받았더니 49.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구해지고 나의 과제표준 금액에 때라 세율을 곱해줬더니 50. 산출세액이 나왔어요. 그럼 이 산출세액의 금액을 다 납부하는 게 아니라 여기서 또 세액감면과 세액공제를 빼줘야 72. 결정세액이 나오는 거예요. 세액감면은 소득세법에 따른 세액감면, 조세조약에 따른 세액감면,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세액감면 등이 있어요. 그중에서 제가 겪어본 건 53. 조세특례제한번 제30조에 속하는 중소기업 취업자에 대.. 2023. 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