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세금 정보/기타 정보87

2023년 귀속 연말정산 개정되는 세법 연말정산 미리미리 준비하고 계신가요? 2023년 귀속분부터 개정되는 세법 확인해 보세요. 기부금 세액공제 신설 항목 고향사랑기부금 신설 지방자체단체에 기부한 금액에 대하여 세액공제 ① 기부금액 10만 원 이하 : 100/110 (지방세 포함 전액 세액공제, 30% 답례품 제공) ② 기부금액 10만 원 초과 : 15% (500만 원 한도) 노동조합 조합비 소속된 노동조합이 11.30. 까지 결산결과를 공시하면 ’ 23.10월~12월에 납부한 조합비 15% (1천만 원 초과 30%) 세액공 가능 ① 해당 노동조합이 소속된 총 연합단체 · 연합단체 · 단위노동조합 · 산하조직 모두 포함 ② ’ 23.1월~’ 23.9월에 납부한 조합비는 결산결과 공시와 관계없이 세액공제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한도 변경 (급여 .. 2023. 12. 21.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 인적공제 대상자, 요건, 공제금액 오늘은 인적공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인적공제 대상자, 인적공제 요건, 인적공제 시 공제 금액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기본공제 기본공제의 경우 대상자는 본인,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가 있어요. 아래의 표에서 말하는 연소득은 종합소득뿐 아니라 양도소득 등 모든 소득을 포함한 금액이므로 주의하셔야 해요. 추가공제 기본공제 이외에 추가로 공제를 더 받을 수 있어요. 대상자는 기본공제 대상자 중 경로우대자, 장애인, 부녀자, 한부모가 있어요. 부녀자 공제와 한부모 공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말씀드릴게요. 부녀자 공제, 한부모 공제의 차이점 부녀자공제는 종합소득금액 3,000만 원 이하인 기본요건을 충족하고 추가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적용받을 수 있어요. 기본요건을 충족했다는 조건하에 배우자가 .. 2023. 12. 20.
왜 부가가치세를 내야 할까? / 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내는 이유 우리는 살면서 알게 모르게 다양한 종류의 세금을 내게 돼요. 세금은 국가를 유지하고 국민 생활을 발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고는 하는데... 흠.. 오늘은 다양한 세금 중에 간접세인 부가가치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대체 왜!!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지, 그리고 왜 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직접세, 간접세란? 부가가치세는 대표적인 간접세예요. 사업하시는 분들한테 가장 중요한 세금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어요. 간접세는 납세 의무자가 우선적으로 납세를 하지만 물품 가격에 포함되는 등의 방식으로 소비자가 내는 세금을 말해요.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은 사장님이고 세금을 부담하는 사람은 소비자라는 말 반대로 직접세가 있는데 직접세는 세금의 부담자와 납부자가 같은 경우를 말해요. 부.. 2023. 12. 19.
2024년 최저임금 / 내년 최저임금 9,860원 2024년 최저임금이 9,860원으로 결정됐어요.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이고 2024년 최저임금은 9,860원으로 2023년 보다 2.5% 오른 금액이에요. 최저임금을 주 5일 8시간 근무 기준 월급으로 계산하면 2,060,740원이네요. (물가는 이것보다 훨씬 많이 쭉쭉 오르는데 이에 비해 임금 오르는 건 완전 쥐꼬리네요ㅠㅠ) 전 근로자라 급여가 오르면 좋겠지만 사장님들은 최저임금이 오르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을 텐데요. 오늘은 사장님들을 위해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과 그렇지 않은 임금에 대해 알아볼게요. 최저임금 적용 사업장 및 근로자 근로자 1명 이상인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 정규직, 비정규직,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게.. 2023. 12. 11.
주민번호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 매입세액 공제받을 수 있을까?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사업자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주고받아요. 이렇게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로 매입세액공제를 받게 되죠. 사업자 등록증을 신청하기 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으려면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게 되는데요. 이런 경우 주민등록번호로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를 매입세액 공제받기 위한 조건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사업자등록 전 주민번호로 수취한 세금계산서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기 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주민등록번호를 알려주고 세금계산서를 받아야 해요. 사업자등록 이전 거래에 대해서는 주민등록번호로 받은 세금계산서는 매입세액으로 공제받을 수 있어요. 원래는 사업자등록 전 매입세액에 대해 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업자등록신청일부터 역산해서 20일 이내에 사업과 관련하.. 2023. 12. 8.
연말정산 놓치기 쉬운 공제 항목 벌써 11월이에요. 연말정산이 다가오고 있지요. 예전엔 회사에서 해주면 해주는 대로 내라면 내고 돌려받으면 좋아하고 연말정산에 관심이 1도 없었는데 요즘엔 1년 내내 연말정산을 생각하면서 돈을 쓰고 있는 거 같네요.^^ 오늘은 연말정산할 때 놓치기 쉬운 6가지 공제항목을 살펴볼게요. 아래 설명에서 부양가족은 연말정산 때 부양가족의 소득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을 의미해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 60세 이상자, 장애인, 경력단절 여성의 경우 회사에서 받는 근로소득에 대해서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어요. ▶ 근로자 감면요건 ▶ 회사 근로자가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회사도 조건이 있어요. 1.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서, 2... 2023. 12. 7.
728x90
반응형